-
React 화살표 함수를 사용할 때 return문과 소괄호study/Extream 2023. 2. 2. 10:42728x90
JSX문법에서 return문을 상요할때 소괄호를 사용해야한다.
const App = () => { return( ); };
최상위 엘리먼트로 감싸주면 소괄호를 빼도 된다.
- jsx에서 반환해야 하는 값을 인식하기 때문이다.
- return문 바로 뒤에 적어야 한다. 다음행에 작성하려면 소괄호를 기재해서 값들을 묶어주어야 한다.
const App = () => { return<div> <h1>HI</h1> </div> }; // 안됨 // const App = () => { // return // <div> // <h1>HI</h1> // </div> // };
중괄호가 있다면 return문이 있어야만 반환을 한다.
그런데 화살표 함수는 괄호로 감싸진 부분이 return이 된다.
return문을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
() => ___ 이 형식은 ()=>{return문}과 같은 의미이다
const App = () => ( <div> <h1>HI</h1> </div> );
- 매개변수가 없는 함수라면 중괄호와 return문이 필요하다
비교
- 모두 적용
const Counter = () => { return ( <div className="tweetForm__input"> <div className="tweetForm__inputWrapper"> <div className="tweetForm__count" role="status"> total: { dummyTweets.length } </div> </div> </div> ); };
- return뒤에 소괄호 생략
const Counter = () => { return <div className="tweetForm__input"> <div className="tweetForm__inputWrapper"> <div className="tweetForm__count" role="status"> total: { dummyTweets.length } </div> </div> </div> };
- 중괄호와 return 소괄호 모두 생략
const Counter = () => <div className="tweetForm__input"> <div className="tweetForm__inputWrapper"> <div className="tweetForm__count" role="status"> total: { dummyTweets.length } </div> </div> </div> ; //짧다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JavaScript/Reference/Functions/Arrow_functions
728x90'study > Extrea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S와 변수 (0) 2023.02.04 문제와 해결 (0) 2023.02.03 Lint란? (0) 2023.02.02 <option> 태그와 value 속성 (0) 2023.02.01 Vue <router-view/>에 빨간줄 해결 법 (0) 2023.01.28